페미니즘 제1부: 동일성 접근법 – Annaleigh Curtis

편집자 주: 이 에세이는 철학적 페미니즘을 주제로 한 3부작 시리즈의 첫 번째 글입니다. 페미니즘에 대한 동일성 접근법(the Sameness Approach)과 차이 접근법(the Difference Approach)에 대한 처음 두 글은 애널리 커티스(Annaleigh Curtis), 지배 접근법(the Dominance Approach)에 대한 세 번째 글은 첼시 하라미아(Chelsea Haramia)가 작성했습니다. 두 번째 글은 여기에(번역본은 여기에), 세 번째 글은 여기에(번역본은 여기에) 있습니다.


페미니즘에 대한 학술적, 비학술적 논의 모두에서 종종 페미니즘 입장의 다양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경우가 있다. 두 사람이 모두 페미니스트라고 불리면서도, 억압의 본질, 성노동, 낙태와 같은 다양한 이론적, 실천적 쟁점들에 대해 의견이 다를 수 있다. 이 에세이와 다음 에세이에서는 성차별적 억압에 대한 두 가지 일반적인 페미니즘 접근법인 동일성 접근법(the sameness approach)과 차이 접근법(the difference approach)을 설명한다.[1] 이 첫 번째 에세이는 동일성 접근법에 초점을 맞춘다.

사상의 갈래를 구분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특히 그것들이 정치적 운동에서 유기적으로 발생한 경우에는 더욱 그렇다. 이 글에서 동일성 접근법이라고 부르는 것은 다른 곳에서 휴머니즘적 페미니즘(humanist feminism) 또는 자유주의 페미니즘(liberal feminism)이라고 부르는 것과 유사하다. 기본적인 생각은 모든 사람이 그들의 신체적 또는 사회적 특성과 관계없이 동등하게 대우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일반적인 논증 전략은 다음과 같다.


전제 1: 만약 A와 B가 관련된 측면에서 동일하다면,[역주1] A와 B는 동일하게 대우받아야 한다.
전제 2: 여성과 남성은[2] 관련된 측면에서 동일하다.
결론: 여성과 남성은 동일하게 대우받아야 한다.


이 논증은 첫눈에 설득력이 있어 보인다. 만약 두 대상이 정말로 관련된 중요한 모든 면에서 동일하다면, 그들을 다르게 대우하는 것은 비합리적일 것이다. 예를 들어, 두 명의 구직자가 해당 직업에 대해 동등하게 자격을 갖추었다면, 단지 한 사람이 남성이라는 이유만으로 그를 고용하는 것은 불공정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직관이 동일성 접근법을 이끈다. 이 접근법이 남성과 여성이 완전히 같다고 주장할 필요는 없다. 이 접근법의 지지자는 자연적인 또는 사회화된 차이들이 있다고 인정하면서도, 단지 정말로 중요한 측면에서는 그렇지 않다고 주장할 수 있다. 하지만 사람들은 정말로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인간의 존엄성인지, 지성인지, 영혼인지, 특정 능력들인지에 대해 의견이 다를 수 있다.

동일성 접근법의 지지자라 할 수 있는 유명한 철학자로 윤리학과 정치철학 분야의 저술로 잘 알려진 존 스튜어트 밀(John Stuart Mill)이 있다. 밀은 현재를 과거와 구분되게 하는 현대의 한 가지 특징은 다양한 종류의 차별을 없애는 것이라고 썼다.


인간은 더 이상 그들의 사회적 지위를 타고나거나, 태어난 곳에 피할 수 없는 굴레로 매여 있지 않다. 그들에게는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고 주어지는 유리한 기회를 활용하여 자신에게 가장 바람직해 보이는 삶을 성취할 자유가 있다.[3][역주2]

밀에게 있어, 인종, 성별, 계급과 같은 것들은 개인들 간의 의미 있는 구별의 근거가 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들이 아니다.

동일성 접근법은 상당한 직관적 매력이 있지만,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앞서 언급한 구직자 예시를 다시 생각해 보자. 우리는 동등하게 자격을 갖춘 두 지원자를 성별을 근거로 구별해서는 안 된다고 가정했다. 이 예시와 관련하여 동일성 접근법에 대한 두 가지 반론을 고려해 보자.

첫째, 동일성 접근법은 적극적 우대 조치(affirmative action)가 허용될 수 없다는 것을 함축하는가? 결국, 단지 성별만을 근거로 사람들을 구별하는 것이 잘못되었다면, 남성과 여성 모두 성별을 근거로 일자리를 얻어서는 안 된다. 하지만 동일성 접근법의 지지자들을 포함한 많은 페미니스트들은 아마도 고용에서 어느 정도의 적극적 우대 조치에 찬성할 것이다. 이와 같은 종류의 반론이 인종 기반 적극적 우대 조치에 대해 제기되었으며, 때로는 심지어 그것은 “역인종차별”(reverse racism)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이러한 반론에 대한 표준적인 대응은 다음과 같다. 남성과 여성은 백인과 유색인종이 그렇듯 우리 사회에서 매우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시작하기 때문에 적극적 우대 조치는 정당화된다. 남성, 특히 백인 남성은 오랫동안 과도한 혜택을 받아 왔으므로, 여성과 유색인종 지원자를 우선하여 고용하는 것이 불공정한 것이 아니라 그들에게 불리하게 작용해온 오랜 편향을 상쇄하는 것일 뿐이다.

이러한 대응이 동일성 접근법과 어떻게 조화될 수 있는지는 그리 명확하지 않다. 아마도 동일성 접근법의 지지자는 무엇이 평등한 대우를 구성하는지에 대해 장기적인 관점을 취해야 할 것이다. 즉, 지금의 어떤 선호가 과거의 반대 선호를 보상한다는 입장을 취하는 것이다. 만약 그렇다면 동일성 접근법의 지지자는 이를 자신의 이론에서 명확히 설명해야 한다.

둘째, 이와 관련하여, 두 후보자가 동등한 자격을 갖추었다는 우리의 원래 가정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지원자들이 동등한 자격을 갖추는 경우가 과연 얼마나 될까? 더 중요한 것은, 우리는 여성이 심지어 직업에 후보로 고려되기도 전에 성차별의 결과로 체계적으로 자격 미달이 될 가능성을 다루어야 하지는 않을까? 사람들은 성장 과정에서 동일한 교육, 기회, 격려를 받지 못한다. 동일성 접근법은 의심할 여지없이 이러한 측면에서의 변화를 요구하겠지만, 이 접근법의 지지자는 현재와 그들이 상상하는 정의로운 미래 사이에 무엇이 행해져야 하는지 말하기 어려울 수 있다. 오랫동안 다르게 대우받아 온 모든 사람들을 단순히 동일하게 대우하는 것은 출발선에서 앞서 있던 사람들이 계속 앞서 있도록 보장함으로써 차이를 영속화할 뿐일지도 모른다.

아래에 성차별적 억압에 대한 동일성 접근법에 관해 읽어볼 수 있는 몇 가지 자료를 적어 두었다. 뉴스나 친구들 사이에서의 토론을 관찰하여 이 접근법뿐 아니라 2부와 3부에서 논의될 차이 접근법과 지배 접근법이 어떻게 사용되는지 확인해 보는 것도 유익할 것이다.


주석

[1] 세 번째 접근법인 지배 접근법(the dominance approach)은 여기에서 다룬다. 이러한 구분은 샐리 해스랭어(Sally Haslanger)와 엘리자베스 해켓(Elizabeth Hackett)이 편집한 Theorizing Feminisms: A Reader에서 직접 가져온 것이다. 그들은 이 구분의 근거를 해당 책에 재수록된 캐서린 매키넌(Catharine MacKinnon)의 “Difference and Domination: On Sex Discrimination”에서 찾는다.

[2] 나는 이 에세이에서 남성과 여성이라는 범주가 실재하고 가능한 젠더의 범위을 모두 포괄하는 것처럼 이야기한다. 그 이유는 내가 여기에서 다루는 사상가들이 그렇게 하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오늘날 대부분의 페미니스트들은 한쪽에는 남성이 있고 다른 쪽에는 여성이 있는 엄격한 생물학적 또는 사회적 이분법이 없다는 생각을 받아들인다. 성별, 젠더 정체성과 표현, 성적 지향이 어떻게 갈리는지에 대한 개요는 여기를 참고하라.

[3] J.S. Mill, “The Subjection of Women” http://www.constitution.org/jsm/women.htm
– 번역본 1: 존 스튜어트 밀, 서병훈 역, 『여성의 종속』, 책세상, 2018.
– 번역본 2: 존 스튜어트 밀, 정미화 역, 『여성의 종속』, 이소노미아, 2022.

[역주 1] 즉, 동등한 대우를 받을 자격이 있는지 판단할 때 고려해야 할 관련된 중요한 특성들에서 동일하다면,

[역주 2] 서병훈 역은 이 부분을 다음과 같이 번역했다.
“현대 세계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무엇인가? 무엇이 현대의 제도와 사회 사상, 그리고 현대인의 삶 그 자체를 오래된 과거의 그것과 구분되게 만드는가? 그것은 바로, 인간이 더이상 자신이 태어난 곳에서 평생을 살거나, 태어나면서부터 짊어지게 된 운명의 굴레에 얽매여 죽을 때까지 꼼짝도 못한 채 살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다. 인간은 이제 타고난 능력과 좋은 기회를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자유인이 된 것이다.” (존 스튜어트 밀, 서병훈 역, 『여성의 종속』, 책세상, 2018. 43쪽)


참고문헌

de Beauvoir, Simone. The Second Sex. 1949.

– 번역본 1: 시몬 드 보부아르, 이정순 역, 『제2의 성』, 을유문화사, 2021.
– 번역본 2: 시몬 드 보부아르, 이희영 역, 『제2의 성』, 동서문화사, 2009.

Hackett, Elizabeth, and Sally Haslanger. Theorizing Feminisms: A Reader.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Jaggar, Alison (1983). Feminist Politics and Human Nature. Totowa, NJ: Rowman and Littlefield.
– 번역본: 앨리슨 재거(저), 공미혜, 이한옥(역), 『여성해방론과 인간본성』, 이론과 실천, 1999.

Mill, J.S. “The Subjection of Women.” 1869. 
– 번역본 1: 존 스튜어트 밀, 서병훈 역, 『여성의 종속』, 책세상, 2018.
– 번역본 2: 존 스튜어트 밀, 정미화 역, 『여성의 종속』, 이소노미아, 2022.

Nussbaum, Martha (2000). “The Future of Feminist Liberalism.” Proceedings and Addresses of the American Philosophical Association 74: 47–79.

Okin, Susan Moller (1989). Justice, Gender and the Family. Basic Books: New York.


관련 에세이

Feminism Part 2: The Difference Approach by Annaleigh Curtis (번역본: 페미니즘 제2부: 차이 접근법 – Annaleigh Curtis)

Feminism Part 3: The Dominance Approach by Chelsea Haramia (번역본: 페미니즘 제3부: 지배 접근법 – Chelsea Haramia)

What Is Misogyny? by Odelia Zuckerman and Clair Morrissey


저자 소개

애널리 커티스(Annaleigh Curtis)는 하버드 로스쿨(Harvard Law School)에서 법학박사(JD) 학위를, 콜로라도 대학교 볼더 캠퍼스(University of Colorado at Boulder)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같은 대학에서 여성학 및 젠더 연구 대학원 과정 수료증(Graduate Certificate)을, 그리고 워시번 대학교(Washburn University)에서 철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보스턴에서 지적재산권 소송을 전문으로 하는 변호사로 활동하고 있다. 학문적 관심사는 사회 인식론, 도덕 인식론과 방법론, 페미니즘 철학, 법철학을 포함한다. https://papers.ssrn.com/sol3/cf_dev/AbsByAuth.cfm?per_id=2361641


이 글은 Annaleigh Curtis의 Feminism Part 1: The Sameness Approach를 번역한 것입니다.
1000-Word Philosophy 팀으로부터 허가를 받아 한국어 번역본을 게시합니다.

Related Posts

Begin typing your search term above and press enter to search. Press ESC to cancel.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