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삶에서 다양한 어려움과 마주한다. 개인적 의미와 목적에 관한 질문들, 가족 및 인간관계에서의 갈등, 직장에서의 좌절감, 중년의 위기, 삶을 뒤흔드는 건강 문제, 어려운 선택, 그리고 일상생활 속 수많은 난관들이 그것이다. 철학이 이러한 문제들에 도움을 줄 수 있을까? ‘철학 상담’(philosophical counseling)을 옹호하는 이들은 그렇다고 주장한다. 철학 상담은 전통적으로 심리학 기반 상담이 다루어 온 문제들에 철학적 방법, […]
절대적 사고의 위험성은 절대적으로 명백하다 – Mohammed Al-Mosaiwi
당신이 알고 있는 가장 행복하고 심리적으로 건강한 사람을 떠올려 보라. 그들의 사고방식에 대해 무엇을 말할 수 있는가? 그들은 세상을 흑백논리로 보는 독단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는가? 자신과 주변 사람들에게 융통성 없이 엄격한 기준을 강요하는가? 스트레스나 불행에 직면했을 때 그것을 과대해석하고 집착하는 경향이 있는가? 다시 말해, 그들은 절대주의적 사고방식(absolutist thinking style)을 가지고 있는가? ‘절대주의’(absolutism)는 중요성이나 가능성 면에서 […]
분노는 일시적인 광기다: 스토아 철학자들은 이를 다스리는 법을 알고 있었다 – Massimo Pigliucci
사람들은 온갖 이유로 분노한다. 사소한 이유(고속도로에서 누군가가 갑자기 내 차 앞으로 끼어들었다)부터 매우 심각한 이유(시리아에서 사람들이 계속 죽어가는데도 아무도 이에 대해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까지 다양하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분노는 사소한 이유에서 비롯된다. 이러한 이유로 미국심리학회(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는 웹사이트에 분노 관리에 관한 페이지를 따로 마련해 두고 있다. 흥미롭게도 이 페이지의 내용은 기원후 1세기에 스토아 철학자 […]
철학은 치료인가, 아니면 단지 진리 탐구일 뿐인가? – Nigel Warburton, Jules Evans
나이젤 워버턴(Nigel Warburton): 최근 스토아 철학을 다시 부활시키려는 움직임이 활발한데, 특히 그 치료적 측면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어요. 저는 이에 대해 회의적입니다. 제 생각에 철학은 주로 이해하려는 시도이며, 그런 점에서 탐구 활동이기 때문입니다. 사물의 실상을 발견하는 것이 심리적으로 우리에게 도움이 되리라는 보장은 없습니다. 오히려 상황을 훨씬 더 나쁘게 만들 수도 있죠. 프리드리히 니체(Friedrich Nietzsche)가 지적했듯이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는 내가 슬픔을 견디고 삶을 다시 세우도록 도움을 주었다. – Jamie Lombardi
어린 시절과 청소년기에 책은 나를 절망에서 구해 주었다. 이것은 나에게 문화가 최고의 가치라는 확신을 심어주었다. 시몬 드 보부아르(Simone de Beauvoir), 『부서진 여자』(The Woman Destroyed, 1967) 스토아주의자(Stoic)가 된다는 것은 불굴의 정신을 가지고 격렬한 감정의 파도에서 벗어나는 것이라고 오해되곤 한다. 스토아주의(Stoicism)에 대한 이런 해석이 놓치고 있는 것은, 우리가 감정을 우리의 안내자로 생각하는 법을 배울 수 있다면 심지어 […]
행복해지기 위해서는 당신이 통제할 수 있는 것에 집중하라 – Massimo Pigliucci
주님, 저에게 바꿀 수 없는 것들을 받아들일 평온함을, 바꿀 수 있는 것들을 바꿀 용기를, 그리고 그 둘을 구별하는 지혜를 주소서. 이것은 원래 1934년경 미국의 신학자 라인홀드 니버(Reinhold Niebuhr)가 작성한 평온을 비는 기도(the Serenity Prayer)로, 익명의 알코올 중독자들 모임(Alcoholics Anonymous) 및 그와 유사한 단체에서 많이 사용하는 기도문이다. 이는 단지 중독에서 회복하는 과정에 있어 핵심적인 단계일 뿐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