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화(confabulation): 스스로에게 이야기를 들려주는 것이 우리 마음을 안정시키는 이유 – Lisa Bortolotti

이제는 고전이 된 한 실험에서 미시간 대학교의 심리학자 리처드 E. 니스벳(Richard E Nisbett)과 티모시 윌슨(Timothy Wilson)은 스타킹과 같은 여러 물건들을 진열해 놓고 사람들에게 하나를 선택하게 했다. 참가자들은 일관되게 가장 오른쪽에 있는 물건을 선호했다. 하지만 선택의 이유를 묻자, 물건의 위치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고 대신 선택한 스타킹의 질감이나 색깔이 더 좋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심지어 진열된 스타킹들이 […]

뇌는 왜 기이한 거짓 기억을 만들어낼까? – Jules Montague

의심은 그리 기분 좋은 상태는 아니다. 하지만 확신은 어리석은 상태이다.[역주1]볼테르 (1770) 내가 병동을 회진하고 있을 때 매기는 내게 말했다. 자신이 지난주에 마돈나의 저택을 방문해서 투어 의상 고르는 것을 도와 줬다고. 문제는 매기가 더블린의 재봉사라는 점이었다. 그녀는 마돈나를 만난 적이 전혀 없었다. 그 유명한 원뿔 모양 브래지어에 대한 의상 조언을 해준 적도 없었다. 실제로는, 며칠 전 […]

당신이 정말로 믿는 것은 무엇인가? 진리 탐지 악령 테스트(truth-demon test)를 해 보라 – Keith Frankish

우리 대부분은 정치, 시사, 종교, 사회, 도덕, 스포츠에 대한 견해를 가지고 있으며, 대화나 소셜미디어 등을 통해 이런 견해들을 표현하는 데 많은 시간을 보낸다. 우리는 자신의 입장을 주장하고, 그것이 도전받으면 불쾌해한다. 왜 이런 행동을 하는 것일까? 분명한 대답은 우리가 표현하는 견해를 실제로 믿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즉, 그것들이 참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것들이 참이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도 그것들을 […]

환자여, 자신을 알라: 병식(insight)이 정신증 치료에 어떻게 도움이 되는가 – Anthony David

‘정신증’(Psychosis)은 환각이나 망상 등을 비롯하여, 현실 감각을 잃게 되는 다양한 증상들을 포괄하는 용어이다. 정신증 환자들은 자신이 겪는 특이한 경험이 실제라고 느끼지만, 그런 경험을 받아들이고 이해하는 방식은 사람마다 크게 다르다. 결정적으로 중요한 것은 환자가 자신의 경험이 질병에서 비롯된 것임을 깨닫는 정도, 즉 자신의 상태에 대한 ‘병식’(insight)의 정도가 회복 가능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따라서 환자의 병식을 높이려는 […]

‘너 자신을 알라’는 단순히 어리석을 뿐 아니라 위험한 조언이다 – Bence Nanay

‘너 자신을 알라!’ 이것은 진지한 철학 책에서 뿐 아니라 별난 자기계발서에서도 마주칠 수 있는 구절이다. 이 구절은 매우 오래된 철학적 뿌리를 갖고 있다. 소크라테스 시대에는 이미 널리 통용되는 지혜였고(델포이의 아폴론 신전 현관에 새겨져 있었다고 한다), 이 구절의 한 형태는 고대 이집트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그 이후로 대부분의 철학자들은 이에 대해 무언가를 말해 왔다. 하지만 ‘너 자신을 […]

무엇에 대해 생각하든, 당신은 자신의 마음을 알지 못할 수 있다 – Keith Frankish

당신은 인종에 대한 고정 관념들이 거짓이라고 생각하는가? 정말 확신하는가? 내가 묻는 것은 그런 고정 관념들이 거짓인지 확신하느냐가 아니라, 당신이 실제로 그렇게 생각하는지 확신하느냐는 것이다. 이상한 질문처럼 들릴지도 모른다. 우리는 모두 자기가 무엇을 생각하는지 알지 않는가? 대부분의 심리 철학자들은 우리가 자신의 생각에 대해 특권적 접근 능력(privileged access)을 가지고 있으며, 이 능력은 대체로 오류를 범하지 않는다는 주장에 […]

‘그릿’(grit)을 가르치는 것은 아이들에게 해롭고, 민주주의에도 해롭다

그릿 담론에 따르면, 미국의 아이들은 게으르고, 특권의식에 젖어 있으며, 글로벌 경제에서 경쟁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 학교는 사회정서적 기술(socio-emotional skills) 교육을 소홀히 하여 이 문제를 악화시켰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교에서 미국 아이들에게 대학과 직장에서 성공하는 데 필요한 성향을 길러 주어야 한다. 이러한 주장을 하는 이들에 따르면, 정치인, 정책 입안자, 기업 경영진, 학부모들은 모두 아이들에게 […]

절대적 사고의 위험성은 절대적으로 명백하다 – Mohammed Al-Mosaiwi

당신이 알고 있는 가장 행복하고 심리적으로 건강한 사람을 떠올려 보라. 그들의 사고방식에 대해 무엇을 말할 수 있는가? 그들은 세상을 흑백논리로 보는 독단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는가? 자신과 주변 사람들에게 융통성 없이 엄격한 기준을 강요하는가? 스트레스나 불행에 직면했을 때 그것을 과대해석하고 집착하는 경향이 있는가? 다시 말해, 그들은 절대주의적 사고방식(absolutist thinking style)을 가지고 있는가? ‘절대주의’(absolutism)는 중요성이나 가능성 면에서 […]

Begin typing your search term above and press enter to search. Press ESC to cancel.

Back To Top